1.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동물들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생식을 하지만, 기본적으로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성생식은 부모가 단독적으로 자손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무성생식을 통해 부모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자손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장점은 빠르게 번식할 수 있는 점과 교배가 필요하지 않은 점입니다. 하지만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여 환경 변화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성생식은 이분법, 출아법, 분절 증식, 포자 증식 등이 있습니다. 이분법(Binary Fission)은 박테리아와 같은 단세포에서 주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분법은 부모 세포가 두 개의 동일한 자식 세포로 나누어지며 자식 세포는 부모의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합니다. 출아법(Budding)은 히드라와 같은 무척추동물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부모 개체로부터 새로운 개체가 자라난 후 분리됩니다. 분열(Fragmentation)은 부모의 몸이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 둘 혹은 그 이상의 개체로 재생되는 방법입니다. 포자 방식(Spore Formation)은 균류, 곰팡이와 같은 생물에서 발생하는 방식으로, 부모 개체가 포자를 만들어 내고, 포자가 새로운 환경에서 성장하여 새로운 개체로 발전합니다.
유성생식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인 수정의 과정을 통하여 자손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유성생식은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무성생식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며, 난자와 정지가 결합하지 않거나 수정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사람의 생식
보통 남녀 생식계의 해부학적 차이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유사점이 있습니다. 첫째, 남녀 모두 배우자를 생산하는 기관인 한 쌍의 생식샘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남녀 모두 짝짓기를 하도록 해주는 구조물뿐만 아니라, 배우자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성 생식기는 정자의 생산, 저장, 이동, 배출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남성은 고환,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선, 요도, 음경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환(Testes)은 정자 생성과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분비하는 장소로, 남성 생식기의 가장 중요한 곳입니다. 부고환(Epididymis)은 고환의 상단에 위치한 긴 관 모양의 구조이며, 정자가 성숙하고 저장되는 장소입니다. 정관(Vas deferens)은 부고환에 저장된 정자를 음경으로 이동시켜 주는 통로입니다. 정관은 정자가 배출되기 전에 다른 액체와 섞여 정액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정낭(seminal vesicles)과 전립선(Prostate gland)은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 산성인 여성의 질을 중화시켜 정자를 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요도(Urethra)는 오줌과 정액 배출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로입니다.
여성의 생식기는 난자 생성, 난자 배출, 수정, 태아의 발달 역할을 담당합니다. 여성은 난소, 난관, 자궁, 질, 외음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난소(Ovaries)는 난자의 생성 및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여성호르몬은 여성의 생리적 특성 발달과 월경 주기, 임신 등 역할을 합니다. 여성은 수백만 개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성숙기에는 약 20만개 정도만 남게 됩니다. 나관(Fallopian tubes)는 나팔관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나팔관은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두 개의 관이며, 내벽에는 섬모가 있어 난자가 난소에서 자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더불어 나팔관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자궁(Uterus)은 수정란(정자와 난자가 결합)이 착상하여 태아가 자라는 장소입니다. 질(Vagina)은 자궁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 태아가 자궁에 밖으로 나오는 출산 통로입니다. 여성호르몬은 에스트로엔과 프로게스테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을 발달시키고, 월경 주기에서 난자 성숙과 자궁내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배란 후 자궁내막을 두껍게 유지하게 시켜주며 자궁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