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을 섭취하고 처리하는 과정은 섭취, 소화, 흡수, 배설 크게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섭취는 음식물을 먹는 것을 의미하며 소화는 음식물을 분해하여 신체에서 흡수할 수 있는 작은 분자가 되는 과정입니다. 흡수는 분자량이 작은 영양물질이 소화관 내면에 있는 세포로 흡수되는 것을 의미하며, 배설은 소화가 되지 않은 음식물 찌거기를 배출하는 것 입니다.
1. 소화 및 소화계
소화는 기계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로 나누어집니다. 기계적 소화는 소화 기관의 물리적인 힘으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액과 음식물이 잘 섞이게 하며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저작운동, 연동운동, 혼합운동의 기계적 소화의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화학적 소화는 소화 효소가 영양소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세포가 소화할 수 있는 작은 물질로 변화시키는 작용입니다.
소화계는 음식물 속의 영양소를 소화하여 몸속으로 흡수하는 일을 합니다. 소화계는 입,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으로 이루어진 소화관과 침샘, 위샘, 간, 쓸개 이자 등 소화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화관은 음식이 지나가는 통로이며,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일어납니다. 반면 소화샘은 소화액을 생성하거나 분비하는 기관이며 간은 소화액인 쓸개즙을 생성하고, 쓸개는 쓸개즙을 모아 두었다가 분비하므로 둘 다 소화샘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2. 영양소의 소화과정과 흡수과정
소화과정은 1) 음식물이 입을 통해 들어오면 기계적소화인 씹기와 화학적소화인 태액의 효소작으로 일부 분해가 시작됩니다. 2) 식도를 통해 내려온 음식물은 위에서 위산과 효소에 의해 분해 됩니다. 3) 소장에서 효소들의 도움을 받아, 음식물은 영양소로 분해되고 소장벽을 통해 흡수됩니다. 4) 대장에서는 수분과 염분이 재흡수 되고, 찌꺼기는 배설을 위해 직장으로 이동합니다. 이러한 소화과정을 통해 음식물 속의 탄수화물은 포도당과 같은 단당류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리드로 최종 분해됩니다.
흡수 과정은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과 그리세리드와 같이 최종 분해된 영양소는 소장의 융털을 통해 몸속으로 흡수됩니다. 단당류와 아미노산은 융털의 모세혈관을 통해 흡수되는 반면 지방산과 글리세리드는 융털의 암죽관을 통해 흡수됩니다.
3. 소화계의 주요 장기
입, 식도, 위, 소장, 대장, 간, 췌장, 담낭은 소화계의 기관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1) 입 : 음식물이 구강을 통해 들어오며, 음식물을 씹고, 침의 효소(아밀라아제)가 음식물 분해를 시작합니다. 2) 식도 : 음식물을 입에서 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을 위로 밀어냅니다. 3) 위 : 위에서는 위산과 소화효소가 음식물을 분해하며 단백질의 소화가 이뤄지는 곳입니다. 4) 소장 : 소장에서는 대부분의 영양소가 흡수됩니다. 5) 대장 : 대장은 수분과 염분을 재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는 직장으로 이동시킵니다. 6) 간 : 담즙을 생성하며 지방의 소화를 돕고 해독작용 역할을 담당합니다. 7) 췌장 : 소화효소를 통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3대 영양소 모두 분해할 수 있습니다. 8) 담낭 :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 후 분비하여 지방 소화를 도와줍니다.
4. 주영양소의 특징과 소화과정 복습
주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탄수화물은 단위체가 단당류이며 이당류와 다당류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사용 후 남은 탄수화물은 글리코겐이나 지방으로 전환되어 몸속에 저장 됩니다. 단백인은 아미로산이 단위체 입니다. 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효소, 호르몬, 항체의 주성분입니다. 더불어 탄수화물과 지방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도 사용 합니다. 마지막 지방은 글리세롤 1분자와 지방산 3분자가 결합한 화합물 입니다. 탄수화물과 함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주로 저장 에너지원으로 쓰입니다. 소화의 경우 탄수화물은 입과 소장에서 소화가 되며 단백질은 위와 소장에서 소화가 진행됩니다. 지방은 소장에서 소화가 됩니다.
5. 영양장애
영양장애는 영양결핍과 영양과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영양결핍은 신체가 필수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할 경우 발생합니다. 더불어 불량식품 식단으로 인해 영양소를 적절히 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영양결핍이 발생합니다. 영양과잉은 너무 많은 영양소를 섭취할 때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비만, 고지혈증과 같은 질병을 발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영양장애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영양소 보충제, 수분 섭취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