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

소화계 소화기관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 음식물을 섭취하고 처리하는 과정은 섭취, 소화, 흡수, 배설 크게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섭취는 음식물을 먹는 것을 의미하며 소화는 음식물을 분해하여 신체에서 흡수할 수 있는 작은 분자가 되는 과정입니다. 흡수는 분자량이 작은 영양물질이 소화관 내면에 있는 세포로 흡수되는 것을 의미하며, 배설은 소화가 되지 않은 음식물 찌거기를 배출하는 것 입니다. 1. 소화 및 소화계소화는 기계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로 나누어집니다. 기계적 소화는 소화 기관의 물리적인 힘으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액과 음식물이 잘 섞이게 하며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저작운동, 연동운동, 혼합운동의 기계적 소화의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화학적 소화는 소화 효소가 영양소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세포가 소화할 수 있.. 2025. 3. 26.
광합성 엽록체 명반응 캘빈회로 이해 광합성(Photosynthesis)은 식물과 조류, 세균이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광합성 재료로 이산화탄소와 물을 사용하고 부산물로 기체 산소를 배출 합니다.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화학에너지는 당분자의 화학결합에 저장되 있습니다. 자신의 식량을 만들어내는 생물을 독립영양생물이라 불리며,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식량을 만들어내는 생물을 광독립영양생물이라고 명명합니다. 1. 엽록체 엽록체는 식물, 조류 등의 세포 내 존재하는 세포소기관으로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엽록체는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여 포도당과 같은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며 이 과정에서 산소를 밖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식물의 녹색 빛깔은 엽록소에서 비롯됩니다.  엽록체는 미토콘드리아와 같이 이.. 2025. 3. 26.
신체의 방어 면역계 선천성 후천성 면역 개념 이해 사람의 면역계는 지속적인 병원체(Pathogen)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조직, 세포들의 집합이다. 사람의 면역계는 선천 면역과 후천선 면역으로 구분되며, 선척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며, 병원체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체계입니다. 후천성 면역은 특정 병원균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1. 선천성 면역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며, 병원체가 신체를 공격할 때 보호기능을 제공합니다. 선천성 면역은 피부, 분비물 점막과 같이 외부 병원체가 신체 감염을 위해 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외부 선천 방어와 외부 선천 방어가 감염을 막지 못하여 신체 감염이 시작하게 된다면 식세포, 염증반응 등 통해 병원체를 파괴.. 2025. 3. 23.
세포호흡 3단계와 미토콘드리아 개념 이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체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에너지는 99% 이상 태양으로부터 생성됩니다.  이러한 에너지는 생태계를 통해 흐르며, 햇빛의 형태로 들어와서 열의 형태로 변형된다. 반면 화학원소들은 생태계 내에서 재순환합니다. 1. 광합성과 세포호흡의 화학순환식물은 잎의 기공을 통해 들어온 이산화탄소와 뿌리를 통해 흡수되는 물을 재료로 엽록체라는 세포소기관이 빛에너지를 사용하여 포도당과 산소를 생산합니다. 광합성의 부산물인 산소는 잎의 기공을 통해 밖으로 배출됩니다. 세포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과정으로, 포도당을 분해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생성된 ATP는 세포의 각기 기능을 수행하면서 소모합니다. 식물과 동물 모두 세포호흡에서 ATP의 생산은 미토콘드리아 세포소.. 2025. 3. 22.
동물의 내부환경의 조절 항상성 개념 및 이해 1. 항상성 항상성(Homeostasis)은 안정적 상태라는 의미로,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생리적 과정입니다. 즉 항상성을 통해 내부환경의 균형 유지하여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생물체는 체내 물질 농도(나트륨, 이산화탄소 등), 온도, pH 등 다양한 생리적 변수들을 세포가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절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내부를 안정화하여 생명 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합니다.  2. 음성피드백과 양성피드백항상성 메커니즘은 음성피드백(Negative Feedback)과 양성피드백(Positive Feedback)이라는 두 가지 주요 피드백 시스템으로 구분됩니다.  음성피드백은 일.. 2025. 3. 22.
배우자(정자와 난자) 형성과 여성의 생식주기 개념 이해 사람의 배우자인 정자와 난자의 생산을 배우자형성(gametogenesis)라고 합니다. 정자와 난자는 반수체 세포이며, 46개의 염색체를 가진 배수체세포가 감수분열을 통하여 23개의 염색체를 가진 배우자로 되는 것이다.  1. 정자형성 정자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정자형성이라고 합니다. 정자세포는 정소 안에 있는 세정관에서 만들어집니다. 세정관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세포들은 감수분열에 의해 계속 증가합니다. 이 들 중 매일 약 300만 개가 이배체인 제1정모세포(Primary spermatocyte)로 분화합니다. 제1정모세포는 1차 감수분열에 의해 2개의 반수체 제2정소세포(Secondary spermatocyte)가 됩니다. 이후 2차 감수분열을 통해 4개의 반수체 정세포를 형성합니다. 정세포는 점차 ..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