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군집 특성 구조 종류와 분포 및 상호작용

by KW Co 2025. 4. 4.

 군집은 같은 지역에서 생활하는 모든 개체군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1. 군집의 구성

 군집은 각자의 역할에 따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분됩니다. 먹이 사슬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먹고 먹히는 관계를 나타내며, 생산자 - 1차 소비자 - 2차 소비자 - 3차 소비자 - 최종 소비자로 연결됩니다. 먹이사슬의 각 단계를 영양단계라고 명명합니다. 보통 먹이사슬은 생산자(Producers), 초식동물(Primary consumers), 육식동물(Secondary consumers), 최상위 육식동물(Tertiary consumers), 분해자(Decomposer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생산자는 식물이나 광합성 하는 조류 등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합니다. 초식동물은 대부분 1차 소비자로 사슴, 메뚜기 등이 있습니다. 육식동물은 2차 동물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초식동물을 먹는 동물입니다. 호랑이와 사자, 여우 등이 있습니다. 최상위 포식자는 육식동물을 먹는 동물로서 독수리, 고래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 분해자는 사체를 분해하고 분해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이나 곰팡이가 있습니다.
 군집은 한 종류의 생물이 여러 종류의 생물을 잡아먹고 잡아먹히기 때문에 하나의 먹이 사슬로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대부분 여러 개의 먹이 사슬이 복잡하게 얽혀 먹이 그물을 형성하게 됩니다. 군집을 이루는 종이 다양하고 복잡할수록 먹이 그물이 형성되어 군집이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됩니다.

더불어, 군집을 구성하는 한 개체군이 먹이 사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먹이 지위라고 하며, 개체군이 지배하고 있는 서식 공간은 공간 지위라고 합니다. 먹이 지위와 공간 지위를 합쳐 생태적 지위라고 합니다.

 

2. 군집의 구조

 군집의 구조와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체군은 우점종, 핵심종, 지표종이 있습니다. 우점종은 군집을 구성하는 개체군 중에서 개체 수가 많거나, 차지하는 면적 또는 공간이 커서 군집을 대표하는 개체군입니다. 우점종의 특징으로는 첫째, 군집은 대부분 한두 종의 우점종과 다수의 희소종으로 구성됩니다. 둘째, 대부분의 군집에서 우점종은 식물이며, 동물은 그 군집 속에서 생활합니다. 셋째, 우점종은 다른 종과 비생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군집의 겉모습을 결정하는 경우가 다수입니다. 핵심종은 개체 수는 많지 않지만, 군집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개체군입니다. 핵심종의 특징으로는 첫째, 일반적으로 먹이 그물의 상위 포식자가 핵심종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둘째, 상위 포식자는 아니지만 비생물 환경을 크게 바꿔 군집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종도 있습니다. 예로 비버의 경우 상위 포식자는 아니지만 비버가 강에 댐을 쌓아 숲을 습지로 만들면 그곳에 사는 생물종의 구성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버는 핵심종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지표종은 특정 환경 조건에 충족하는 군집에서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예로 지의류는 대지 중의 이산화 황 농도가 조금만 높아도 생존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지의류는 대기오염 정도를 알려주는 지표종이 됩니다.

 

3. 군집의 종류

 군집은 서식 환경에 따라 육상 군집과 수생 군집으로 구분됩니다. 육상 군집은 기온이나 강수량 등 기후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삼림, 초원, 사막 등으로 구분됩니다. 삼림은 다양한 목본 식물과 초본 식물이 함께 자라는 대표적인 육상 군집이며,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형성됩니다. 초원은 지표면의 50% 이상이 초본 식물로 덮여 있는 군집으로, 삼림보다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 형성됩니다. 초원에는 열대 지방의 열대 초원, 온대 지방의 온대 초원이 있습니다. 사막은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 종만 자라는 군집으로, 강수량이 매우 적고 건조한 지역에 형성됩니다. 수생 군집은 수중 생활에 적응한 생물로 이루어진 군집으로, 물가나 물속에서 형성되어 하천, 호수, 강에서 형성되는 담수 군집과 바다에서 형성되는 해수 군집이 있습니다.

 

4. 군집 내 개체군 간의 상호작용

 군집을 이루는 개체군 간에는 다양한 상호작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개체들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주어 군집의 질서와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호작용에는 종간 경쟁, 분서, 포식과 피식, 공생, 기생 등이 있습니다. 1) 종간 경쟁 : 군집 내 생태적 지위가 비슷한 개체군 사이에서 한정된 먹이와 생활 공간을 차지하기 위해 종간 경쟁이 일어나며, 생태적 지위가 많이 겹칠수록 종간 경쟁이 심하게 일어납니다. 경쟁에서 이긴 개체군은 번성하여 생장하지만, 경쟁에서 진 개체군은 서식지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2) 분서 : 생태적 지위가 비슷한 개체군들이 함께 살면서 생활 공간, 먹이 종류, 활동 시간을 달리하여 서로 경쟁을 피는 것입니다. 3) 포식과 피식 : 서로 다른 두 종의 개체군이 먹고 먹히는 관계에 있는 것입니다. 포식과 피식 관계는 먹이 사슬을 형성하여 생태계 평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포식자를 피식자의 천적이라고 하며, 포식자는 피식자 개체군의 생장을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피식자는 포식자보다 개체수가 많고, 몸집이 작습니다. 4) 공생 : 서로 다른 두 개체군이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함께 생활하는 것으로 상리 공생과 편리 공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리 공생은 공생하는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로 꽃은 나비에게 꿀을 제공하고, 나비는 꽃의 수분을 돕습니다 편리 공생은 공생하는 두 개체군 중 한 개체군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개체군은 이익과 손해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로 빨판상어는 거북에 붙어 쉽게 이동하고 먹이를 얻으며 보호를 받지만, 거북은 이익도 손해도 없습니다. 5) 기생 : 기생은 두 종의 개체군이 함께 생활하면서 한 개체군은 일방적으로 이익을 얻고, 다른 개체군은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예로 말라리아 원충은 사람의 몸속에 살며 양분을 빼앗지만, 사람은 질병에 걸리게 됩니다.